빅카메라 일본 심카드 (3달 사용가능/4000엔)
지구여행기/항덕의 날개 :
2015. 4. 6. 17:34
일본 심카드, 크기는 일반크기 부터 나노까지 있다.
3개월 사용이 가능. 가격은 4100엔 정도. 한명이서 사용하기에는 비싸나 2-3명이 나누어서 사용한다면 괜찮은 플랜이다.
대략 이런 가격
주파수는 다음 주파수에서 사용 가능
LTE : Band 1 (2100MHz) / Band 19 (800MHz) / Band 21 (1500MHz) / Band 3 (1800MHz 그러나 히가시 메이 한정)
3G : Band 1 (2100MHz) / Band 19 (800MHz)
3G는 다 될거고 LTE의 경우 band1과 band3 1가 가능할 것이다. 일본의 3G는 느린편이 아니니 쓸만할 것이다. 2
데이터 사용량 확인은 다음페이지에서 가능
APN은 다음과 같다.
이렇게 잡힌다
속도는 다음과 같이 나옴
이렇게 온다.
이거는 버리지 않고 장식용으로 사용이 가능할정도로 인쇄품질이 좋다
APN
만료날짜. 2015년 3월에 샀는데 널널하다
'지구여행기 > 항덕의 날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닐라 공항의 퍼시픽 클럽 라운지 (Pacific Club Lounge naia) (0) | 2016.01.11 |
---|---|
빅카메라 일본 심카드 (3달 사용가능/4000엔) (15) | 2015.04.06 |
글로벌홍폰과 비브랜드 폰의 차이 - 데이터 수신율과 시그널 (0) | 2014.11.25 |
베트남 선불유심과 통신사 플랜 (14) | 2014.11.04 |
동남아지방에서 무제한 요금제는 쓸모가 있을까? (6) | 2014.10.22 |
지금 쓰는 폰이 해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할까? (0) | 2014.07.05 |
항덕의 날개 - 31. 국가별로 돌아본 마트 (1) | 2013.06.17 |
항덕의 날개 - 30. 코카콜라는 국가마다 다르다. (10) | 2013.06.08 |
항덕의 여행 - 29. 기내식과 비행기와 엔터테이먼트 (3) | 2013.06.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아마도 기계적으로 처리한 것 같습니다.
제목만 보고 처리하는 경우가 있거든요.
업무도 많겠지만 답변 받는 쪽에서는 기분 안좋지요.
월정
기계적으로 처리한것 같지는 않은것으로 보입니다.
읽고 처리를 했다면 이런건 다음과 같지요
"책임회피"
만약, 월정님이 말씀하시는 것처럼 기계적으로 처리했다면 HSBC는 고객의 의견따위는 무시하는 것으로 유추할수 있고, 그건 중대한 은행의 과실(?)이 될테니 전 여러모로 더 좋을 듯 합니다. "깔 구실"이 더 늘어나기 때문이죠.
...분명히 책임지고 안쓰겠다는데 왜이러는지 모르겠습니다. 문좀열어줘 HSBC
에구... 예상은 했지만 역시나 어쩔수 없군영...
은행입장은 이런것 같습니다.
아이 : 나 칼줘
어른A : 안되 위험해
아이 : 아참... 다쳐도 내가 다치니까 그냥 줘
어른A : 알았어
< 얼마후 아이가 칼가지고 놀다 다침 >
어른B : 아니 알만한 어른이 애가 달라고 해서 칼을 주냐? 응?
어른A : .........
뭐 대충 이런 상황이라 그런가 아닐까 합니다.
은행도 장사하는 입장인데 나중에 문제 생겨서 불편해 지는걸 원치 않겠죠
그렇게 보실수 있겠습니다만, 설치 안하겠다고 하는 사람들은 적어도 '애'의 입장은 아닐듯 싶습니다. 스스로 책임지겠다고 법에 명시된 규정이 있는데 안지킨다고 하니 -_-;
많은 한국인들은 엑티브엑스 설치창을 무의식적으로 누르곤 하더군요. 바이러스프로그램이라고 명시를 해도 아마 설치창 누르는 개그를 할거 같습니다. 이게다 은행들이 만든 엑티브엑스때문이랄까..요
(덧 :: 저거 딱 하나 지키는 곳이 있는데 KB은행은 nprotect설치 안해도 통과됩니다.)
(덧2:: 그래서 전 최근 HSBC에서 옮겼지 말입니다.)
이 무슨...
하나은행에 보낸건 아직 도착하지 않았지만, 비슷한 내용이 될까봐 두렵습니다.
형식적인 답변이 올거 같...
제가 하려던 일을 유리온님이 먼저 하셨군요. 얼마전 HSBC은행에서 고객만족도를 조사하는 전화가 왔었는데, 다른 건 다~ 만족하는데 제발 쓰레기 nProtect좀 없애달라 했더니 어떤 부분이 문제냐고 하더군요. 그래서 특정 부분의 문제가 아니라 nProtect자체가 쓰레기이니 제발 강제로 쓰게 하지말아달라고 했던 기억이 나네요. 암튼 고생하셨습니다.
사실 HSBC는 소매금융의 비중이 크지 않아서 그려러니 하지만, 신한과 우리은행의 반응이 시원치 않을까 걱정입니다.
결국 '니가 책임진다고 해놓고 해킹당하고 우리 소송하면 법적으로 우리가 물어줘야된다. 그니까 선택권은 없다.' 이군요...
뭐 은행의 입장도 이해는 갑니다.
개인이 책임진다고 했으면 진짜 개인이 책임지게 되어야 하는데, 지금은 아닌가봅니다.
법개정이 우선 아닐까요?
법 내용상 그런 조항이 이미 있는데, 이걸 어떻게 해야 할지..
은행에서 ActiveX이건 나발이건 다 필요없고 그냥 ssl에 https로 서버보안만 챙기면서 나중에 온라인금융사고 나면 은행서버만 조사하고 은행서버의 문제면 은행에서 물어주고 은행서버에서 문제가 없다면 은행책임없으니 개인이 손해봣던 니가 알아서해라 이게 더 나을거 같네요 일단 법도 그렇게 바꾸는게 좋을거에요 개인이 항소하면 니 컴문제다 새캬 하면됩니다 하하하 ㅈㅅ ㅠㅠ
우그으 ㅜㅜ
최악의 프로그램 이런걸 판놈이나 산놈이나..
그리고 그걸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는 사람들도...
2009년에 들렀었군요..반갑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