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문자메세지(메일시스템)은 무엇인가?
연구&리뷰 :
2010. 9. 16. 02:19
けいおん!! ⓒ かきふらい・芳文社/桜高軽音部
재패니메이션을 보면 이질감이 드는 요소들이 있기 마련입니다. 나름 오덕이라고 하는 분들도 군국주의 부분이나 대동아전쟁 같은 부분은 꺼리는 요소가 있습니다만, 이번에 말하는 것은 생활 부분에서 매우 다른 시스템입니다.
일본의 휴대폰 그러니까 "케타이"는 한국이나 다른 나라와 많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데이터 중심형태의 시스템이나 QR코드의 활성화 등등이 있지만 문자메세지 시스템의 경우 메일(メール)이라는 것으로 문자를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메일(メール)은 우리가 아는 그 메일(E-mail)과 같은 존재입니다.
조금 이상하게 들릴 수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한국에서도 이메일을 보내는 것은 휴대폰을 할 수 있지만 받거나 보기 위해서는 데이터 요금이 나오는 것이 사실이니깐요.
이렇게 된 이유에는 PHS시절 SMS라고 하는 것, 일본에서는 C-mail이라는 시스템이 있었지만 같은 통신사 끼리만 전송이 가능했기 때문입니다. 한국도 PCS초기 그런 일이 있었는데, 일본은 이런 번거로움을 없에기 위해서 아예 공통으로 메일(メール)이라는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었다네요.
그렇다면 이 둘의 차이점은 뭐가 있을까요?
좀 심하게 간략화 시키자면 C-mail = 일반문자, E-mail = 멀티메일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C의 경우 전화번호로 보내는 반면 E는 메일주소가 필요하지요.
그래서 한국과 달리 통화용으로 알려주는 것과 문자용으로 알려주는게 나눠져 있어요.
보통은 후자만 교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핸드폰에서 보내는건 둘 다 받을 때 돈 안 듭니다.
대신 E는 사용하려면 주소 사용료 비슷한걸 무조건 내야되지요.
물론 첨부파일이 있거나 할 경우엔 패킷료가 들구요.
그리고 기본적으론 C가 훨씬 쌉니다.
이건 건당 요금이고 자사 통화로 계산되서 각종 할인도 받을 수 있는 반면
E는 패킷요금 계산이고 타사 요금 비율 적용입니다.
저도 1년 조금 넘게 지났지만 여전히 C는 같은 통신사끼리만(최소한 제가 쓴 통신사는) 가능했구요.
음 기본적으론 컴에서 보낸 메일도 받아 볼 수 있긴합니다.
하지만 기본 양식은 모바일에 맞춰줘야하며 안 그럴경우 구모델의 경우 열리지 않습니다.
http://www.fancug.com/bbs/view.php?id=qanda&no=17878
이것도 복잡하다고 하시면 더 간략하게 설명을 해 볼까요?
C-mail = SMS
E-mail = MMS
C-mail(SMS)는 자사 내에서만 사용 가능// 건당요금
E-mail = MMS는 패킷당 요금 (그러나 일본의 대부분 사용자들은 데이터에 가입중)
주로 사용하는 문자기능은 "메일(メール)"
다른나라의 SMS기능과 동일하게 사용됨
'연구&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것이 진정한 세로드립 종결자 : 우리민족끼리 세로드립 사건 (9) | 2011.01.06 |
---|---|
게임 문명의 대표곡 "baba yetu"의 라이브들 (13) | 2010.10.14 |
미즈키 나나의 라이브를 4개 동시에 재생하면? (10) | 2010.10.02 |
HTT VS SNSD (방과후 티타임 VS 소녀시대) 오리콘차트 위클리의 대결결과! (11) | 2010.09.16 |
일본의 문자메세지(메일시스템)은 무엇인가? (7) | 2010.09.16 |
HTT VS SNSD (방과후 티타임 VS 소녀시대) 오리콘차트 그 결과는? (19) | 2010.09.08 |
야근병동2 오프닝과 이면에 있는 뒷 이야기들 (9) | 2010.09.04 |
소녀시대의 오리콘 차트, 케이온 때문에 불가능할수도? (51) | 2010.09.01 |
도미노피자 로스트비프 피자? 영국의 맛이라고? 그럼 맛없겠네 (23) | 2010.07.18 |
댓글을 달아 주세요
그래서 형식만 갖추면 우리나라에서 일본 휴대폰하고 메일을 주고받는 것도 가능한 거군요
메일링으로 하니 메일로 주고받는다면 이론적으론 가능하겠네요
각 통신사 가입시 이메일주소가 할당되고, 해당 이메일 주소는 "수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30분마다 한 번씩 바꿀 수도 있습니다. 이유는 스팸 대책. 본문에도 기술된 것처럼, 다운로드도 패킷요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스팸이 쏟아질수록 통신요금도 올라갑니다. 보통은 메일 요금제 가입하지만, 여하튼 우리나라처럼 짜증나고 끝나는 시스템이 아니죠. 덕분에 클릭 몇 번으로 주소록 전체에 "메일주소 변경되었음요"라고 공지메일 날리는 것도 가능합니다.
덕분에 ID도 날이 갈 수록 해괴해지고, 다른 사람 휴대폰을 만지는 것도 꺼려하는 문화 때문에 보통은 적외선 통신으로 ID를 보내줍니다. 하여 메일주소를 땄다면 꽤 가까워졌다는 증거로 봐도 됩니다.
선불폰을 가입하면서 메일주소로 koasing@m.softbank.jp 을 사용했더니 직원이 놀라면서 "이렇게 간단한것도 괜찮나요?" 식으로 물어본 게 개그. 일주일 후면 귀국이라 상관없다고 말하고 나왔지 말입니다.
그동네도 참 복잡하게 돌아가네요
별의 목소리가 생각납니다
...
2000년 즈음에 국내에서도 핸드폰 번호에 메일주소를 할당해줘서 쓰이던 기억이 있는데,
역시 핸드폰 폐쇄적인 MMS시스템쪽이 돈 벌기 쉽다고 생각한 결과가 우리나라 멀티메일 시스템인걸로 보이는데,
일반 E메일 기반으로 하니 스펨 문제가 꽤 심각해 지는군요....
비밀댓글입니다